반응형 부동산 칼럼32 '23년 경기침체, 금리인하, 물가하락 예상 한국은행에서 1월 26일에 중요한 지표 발표를 했습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 참조_보도자료 게시판) '22년 4분기와 '22년 마감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1월 소비자동향 발표가 그것입니다. GDP 경제성장률 그리고 소비자동향에서 소비자심리지수와 기대인플레이션, 주택가격전망 지표는 '23년 부동산 시장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매번 발표될 때마다 같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내용 설명드리면서, '23년을 같이 예상해 보겠습니다. 1. '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 -0.4% 역신장 '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0.4% 역신장 했습니다. 2년 6개월 만에 일어난 일입니다. 수출부진과 소비침체가 곁 치면서 역신장이 일어난 것입니다. .. 부동산 칼럼 2023. 1. 28. 더보기 ›› 부동산 집값 상승 시기 예측 (은마, 잠실주공5단지, 잠실엘스 시세 변화) 작년 12월부터 부동산 규제 완화, 금리인하, 전세가 변화에 대해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1월 들어서 이런 내용들이 많은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공유되고 있습니다. 이제 많이 공유되고 있는 건 매수심리가 생긴다고 볼 수 있기에, 실제 강남 3구 대표 아파트들의 최근 부동산 시세를 보고 우리가 어떻게 준비하면 될지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최근 부동산 포스팅을 하면서 부동산 상승시점을 계속 예측해보고 있습니다. 계속 보고 있는 흐름은 금리의 변화, 전세가의 변화, 미분양의 변화, 그리고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강남 3구 대표 아파트 시세변화가 있습니다. 해당 단지들의 시세 변화는 과거부터 부동산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됐기 때문에 선행지표로 중요합니다. 특히, 은마아파트의 경우 부동산을 오래.. 부동산 칼럼 2023. 1. 25. 더보기 ›› 23년 강남 역전세난, 입주폭탄 절호의 매수시기 (래미안원베일리,아크로리버파크,래미안퍼스티지,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오늘은 15년 만에 강남아파트를 아주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기회가 오는 것 같아서 내용이 같이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말씀드리고자 하는 강남 아파트 매수시점을 23년 하반기~ 24년 초까지 가장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되어 강남에 내 집마련 하고자 하는 분은 이 시기를 꼭 노리시기 바랍니다. 왜 23년 하반기 ~ 24년 초가 매수적기일까? 왜 23년 하반기 ~ 24년 초라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21년 역대 최고 전셋값의 계약만기가 23년 하반기에 도래하고, 동시에 15년 만의 많은 입주물량이 쏟아지는 시기가 또 23년 하반기이기 때문입니다. 또 추가로 더 큰 입주물량 단지가 뒤로 기다리고 있어 강남은 해당 기간 동안 최악의 집값하락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1년에는 강남 반포동에서 .. 부동산 칼럼 2023. 1. 22. 더보기 ›› 금리인하 하겠다는 뜻? 1월 18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서울외신기자클럽 기자간담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과 관련된 이창용 총재의 발언들만 모아서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이창용 총재의 발언에 모두가 주목했던 이유는, 바로 5일 전에 베이비스텝 +0.25% 상승한 3.5%로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이는 사상 첫 7회 연속인상이었습니다. 발표 이후 시장반응을 본 총재의 그다음 생각이 어떤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1월 기준금리 발표 이후 시장에서는 최종금리가 3.5%가 될 것인가, 3.75%가 될 것인가 관심이 컸습니다. 하지만 총재는 아직 확정이 안 됐다. 금통위원 3명 최종금리 3.75%까지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말을 했지만, 시장에서는 최종금리가 3.5%로 끝났다. 이제는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 부동산 칼럼 2023. 1. 21. 더보기 ›› '23년 금리인하로, 부동산 거래는 활성화됩니다. 전일 12월 신규 코픽스 금리가 발표되었고, 최근 주요 투자은행들의 한국은행 금리에 대한 예측발표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같이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1. 12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 11개월 만에 하락 전환 변동금리 대출금리 산정 기준인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22년 12월 4.29%로, 전월 11월 4.24% 대비 0.05% 하락했습니다. 하락 발표는 11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시장의 변동성을 가장 먼저 반영하는 신규코픽스가 하락했으니, 신잔액과 잔액 기준코픽스 모두 앞으로 내려갈 전망입니다. 채권시장과 은행채 금리가 하향 안정화 되면서 대출금리 역시 하락했습니다. 코픽스는 변동 폭만큼 바로 변동금리 대출상품의 금리에 바로 반영되기 때문에 17일 신규 대출상품부터 낮아진 대출금리를 확인할 수 있.. 부동산 칼럼 2023. 1. 18. 더보기 ››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