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인하시점2

한국 기준금리 인하 빠를 수도? (2월 소비자물가 CPI 발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발표되었습니다. 현재 가장 중요한 지표는 한국 물가지표입니다. 이창용총재는 물가 안정이 우선과제라고 했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급격하게 부동산시장이 하락한 이유가 22년 9월 6.3%까지 치솟은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3.5%까지 인상했기 때문입니다. 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지표는 물가입니다. 결국 부동산 시장을 좌지우지하게 될 내용입니다. 같이 공유드립니다. ● 2월 소비자물가(CPI) 4.8%로 감소 3월 6일 발표된 2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대비 4.8% 상승했습니다. 시장 전망치는 5.05% 였습니다. 1월 상승률 5.2% 보다 0.4% p 낮습니다. 1월에 5.2%로 조금 상승했었으나, 2월에 4.8%로 확 떨어졌습니다.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부동산 칼럼 2023. 3. 8.
2월 기준금리 3.5% 동결 결정 (동결이유, 금리전망, 금리인하시점) 오늘 2월 23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습니다. 관련 내용 공유드립니다. 1. 2월 기준금리 3.5% 동결 결정 한국은행 금통위가 오늘 23일 기준금리를 3.5%로 조정 없이 동결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발표에서 물가상승률이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정책여건 불확실성도 높아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동결로 21년 8월 이후 지난달까지 1년 5개월 동안 총 7번 연속 이어진 금리인상 기조가 깨졌습니다. 사실 이미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은 많았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1월부터 23년 통화정책에 대해 많은 예고를 했습니다. 한국은행의 23년 물가예상 수준대로 간다면 .. 부동산 칼럼 2023.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