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하시기2 물가하락, 경기침체, 금리인하 가능성 더욱 커졌다. (2월 미국 CPI, 한국 수입물가 발표) 2월 미국 CPI 발표와 수입물가지수가 발표됐는데 기준금리 인하로 방향이 확실히 틀어진 것 같습니다. 공유드리면서 앞으로 시장 방향을 예상해 보겠습니다. ● 2월 미국 CPI 6.0% 발표 2월 미국 물가지표가 발표됐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3월 FOMC 기준금리 방향을 결정할 지표입니다. 2월 미국 CPI는 6.0%가 나왔습니다. 시장전망치와 동일했고, 21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작년 6월에 9.1%까지 올라갔다가 6.0%까지 떨어졌습니다. 다만,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동월대비 5.5%가 나왔습니다. 시장예측과 일치했죠. 하지만 전월대비 0.5% 상승했습니다. 예측 0.4%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근원 CPI 하락을 둔화시킨 것은 60%를 차지하는 바로 주거비였습니다... 부동산 칼럼 2023. 3. 16. 더보기 ›› 미국 CPI 발표, 금리인상 우려에도 부동산 시장이 긍정적인 이유 최근 부동산 시장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1월 고용보고서 이후 미연준 기준금리 상승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면서 환율도 뛰고, 국채금리도 급등했습니다. 또한, 2월 14일 1월 미국 CPI가 6.4%로 예측 6.2%보다 상회하는 수치가 발표되어 이 분위기는 더 갈 수도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은 우려단계가 아니라고 봅니다. 설명드리겠습니다. 1. 미국 1월 CPI 발표로 인플레 우려 확산 2월 14일 한국시간 10시 30분 1월 미국 CPI가 발표되었습니다. 6.4%로 이측 6.2%보다 높은 수치로 발표되었고, 근원 CPI 역시 전년대비 5.4%, 전월대비 0.3%로 시장전망치를 웃돌았습니다. 연준의 목표는 물가안정인데 1월 고용보고서 쇼크에 이어 시.. 부동산 칼럼 2023. 2. 15.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