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월 기준금리 3.5% 동결 결정 (동결이유, 금리전망, 금리인하시점)

짠짠가족 2023. 2. 23.

메인사진

 

오늘 2월 23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습니다. 관련 내용 공유드립니다.

 


 

 

 

1.  2월 기준금리 3.5% 동결 결정

 

한국은행 금통위가 오늘 23일 기준금리를 3.5%로 조정 없이 동결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발표에서 물가상승률이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정책여건 불확실성도 높아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동결로 21년 8월 이후 지난달까지 1년 5개월 동안 총 7번 연속 이어진 금리인상 기조가 깨졌습니다.

 

기준금리추이

 

 

사실 이미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은 많았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1월부터 23년 통화정책에 대해 많은 예고를 했습니다. 한국은행의 23년 물가예상 수준대로 간다면 성장을 고려한 통화정책을 펼 것이고,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높은 단계임으로, 금리인상에 따른 물가 안정 효과와 경기 타격 정도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었습니다.

 

미국은 저번 2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먼저 0.25% p 올린 상태에서, 한국은 이번에 동결하게 되면서 미국 4.75% 대비 +1.25% p 낮은 수준을 이어가게 됐습니다.

 

 

 

 

2.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

 

바로 한국은 23년 다른 나라에 비해 경기침체가 크게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창용 총재가 23년을 성장을 고려한 통화정책으로 이야기한 이유도 그렇습니다.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수출 부진 여파로 이미 지난해 4분기 -0.4% 역성장으로 돌아섰습니다. 2년 반만의 일입니다. 그리고 올해 1분기까지 역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GDP추이

 

 

한국의 GDP가 역성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역수지 적자에 있습니다. 현재 2월까지 12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내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통화정책을 펼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또한 현재 공공요금, 교통비 등으로 소비자물가가 소폭 올랐으나, 23년 4월부터 전년 기저효과에 따른 하락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여 더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무역수지물가하락

 

 

이러한 지표들과 맞물려, 한국은행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발표 외에도,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1.6%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3.6% 에서 3.5%로 하향 조정하여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에 하방 리스크가 크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번 수정된 1.6% 성장률은 정부의 전망치 1.6%로 동일하며, OECD 예상 1.8%, 현대경제연구원 1.8%, 국제통화기금(IMF) 1.7% 보다는 낮고, 아시아개발은행 1.5%, LG경영연구원 1.4%, 해외투자은행 9곳 평균 1.1% 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한국GDP전망

 

 

 

앞으로 미연준의 통화 긴축이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커 금리 격차로 인해 자금이 뚜렷하게 빠져나가거나, 환율이 계속 상승하고,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국제유가상승과 국내 공공요금 인상 여파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의 전망과 달리 3월 이후 5%대에서 내려오지 않는다면, 다음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는 4월에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할 가능성도 충분히 남아 있습니다.

 


 

작년 11월 대출금리 6~7%에서 케이뱅크 최저금리 기준 3.9% 수준까지 떨어졌으나, 여전히 금리는 높은 상태입니다. 추가적인 시장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분명 기준금리가 내려가야 하는데요. 이번 2월 동결됐고, 2개월 후인 4월 금통위에서 검토될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정말 중요할 것 같습니다. 최근 부동산 급매가 빠르게 소진되고, 거래량도 늘고 있는 상황에서 대출수요가 충분히 받쳐줘야 전세가 회복세에 맞춰 부동산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주요 지표들이 발표될 때마다 계속 공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